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혼수준비 포인트
나그네0444
2008. 6. 17. 16:19
일생에 한 번 있는 축복이벤트 결혼.
혼수용품 마련하랴, 신혼집 구하랴 쏘다니다보면 번거롭기도 하고 그 와중에 예비부부들
이 작은 싸움을 벌이기도 한다.
혼수용품을 구입할 경우 이전의 의례적인 행위를 넘어 편리성이나 스스로의 개성을 듬
뿍 담아보는 것은 어떨까. 신세계 백화점의 도움으로 최근의 혼수용품 트렌드를 살펴보
고 아울러 혼수용품 구입시 몇가지 지혜를 알아본다.
▲가구
올 혼수시즌에는 기존의 장롱보다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붙박이장 등 일
명 ‘시스템 가구’가 인기를 끌 것으로 전망된다. 이것은 최근 전세값이 폭등, 신혼부
부의 전세집 규모가 작아졌기 때문.
물론 신세대 신혼부부사이에서 부피만 차지하는 장롱보다는 패션성이나 편의성이 더욱
큰 붙박이장을 선호하는 경우가 점차 늘고 있기도 하다.
신혼부부의 경우 잦은 이사 등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이동시 분해가 가능한 이런 상품
들을 고르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다.
한편 각 백화점 및 가구업체 인테리어업체들은 신세대 신혼부부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
시키기 위해 의뢰인이 정하는 소재와 사이즈에 걸맞는 세트상품을 설계·설치까지 해주
고 있다.
▲침구류
올 가을 침구류 인기색은 화이트나 핑크 중심의 파스텔톤 계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색상이 봄 인테리어에서 강세였는데 일반적으로 봄 경향이 가을에도 재현되는 경우
가 많기 때문.
양실 침구(침대시트 등)의 경우 낮은 가격대 보다는 가격이 좀 높더라도 질이 좋은 상품
이 대세를 이룰 전망이다. 국산 브랜드는 40만~60만원대, 캘빈클라인 팔프로렌 등 수입
제품은 60만~100만원대가 주류다.
최근 예단용 한실 침구세트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굳이 구입한다면 전통적인 골드 레
드의 자수를 갖춘 상품보다 핑크 중심의 현대식 스타일이 인기라는 점을 참조하면 좋을
듯하다.
실제로 판매금액별로 보면 전통 스타일은 20% 선에 머무는 반면 파스텔톤 계열의 현대
적 스타일은 80%를 차지하고 있다.
▲예물
예년에는 예물 선택시 보석의 크기 등이 중요했으나 최근에는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들
의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해서 결혼예물도 심플하면서 디자인 감각이 돋보이는 것이 대
세를 이룬다.
주로 다이아가 세팅된 5부 반지·3부 목걸이·1부 귀걸이를 기본 세트로 한 300만원대부
터가 인기.
캐주얼 반지도 호응을 받고 있다. 특히 신랑용 반지의 경우 신부와 알 크기를 같이 해
젊은 감각이 느껴지도록 한 것이 인기를 높여가고 있다.
유색 보석의 경우 화이트골드와 섞은 꽃모양이나 부채꼴 모양 등 여성스럽고 귀여운 것
이 인기를 끌 듯.
▲가전부문
맞벌이 부부가 늘고있는 만큼 집안일을 수월하게 해줄 기능성 가전제품에 많은 눈길이
쏠린다. 또한 신세대 신혼부부들이 대용량을 선호하는 경향도짙다.
냉장고의 경우 이런 부부들을 겨냥해 품목별로 분리 수납이 가능하고 타이머 등 특수기
능을 갖춘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가격대는 주로 560~720ℓ 대용량 제품이 120만~160만원선.
세탁기 역시 일주일에 한번 빨래를 할 경우에도 세탁량을 소화할 수 있는10㎏이 주류고
엉킴방지 및 울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세탁기도 인기다. 혼수 필수품인 TV의 경우 신혼부
부들이 미디어 세대인 만큼 화면의 크기나 사운드를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
현재 캡션기능을 갖춘 29인치 상품이 최고 인기를 누리고 있다.
혼수용품 마련하랴, 신혼집 구하랴 쏘다니다보면 번거롭기도 하고 그 와중에 예비부부들
이 작은 싸움을 벌이기도 한다.
혼수용품을 구입할 경우 이전의 의례적인 행위를 넘어 편리성이나 스스로의 개성을 듬
뿍 담아보는 것은 어떨까. 신세계 백화점의 도움으로 최근의 혼수용품 트렌드를 살펴보
고 아울러 혼수용품 구입시 몇가지 지혜를 알아본다.
▲가구
올 혼수시즌에는 기존의 장롱보다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붙박이장 등 일
명 ‘시스템 가구’가 인기를 끌 것으로 전망된다. 이것은 최근 전세값이 폭등, 신혼부
부의 전세집 규모가 작아졌기 때문.
물론 신세대 신혼부부사이에서 부피만 차지하는 장롱보다는 패션성이나 편의성이 더욱
큰 붙박이장을 선호하는 경우가 점차 늘고 있기도 하다.
신혼부부의 경우 잦은 이사 등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이동시 분해가 가능한 이런 상품
들을 고르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다.
한편 각 백화점 및 가구업체 인테리어업체들은 신세대 신혼부부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
시키기 위해 의뢰인이 정하는 소재와 사이즈에 걸맞는 세트상품을 설계·설치까지 해주
고 있다.
▲침구류
올 가을 침구류 인기색은 화이트나 핑크 중심의 파스텔톤 계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색상이 봄 인테리어에서 강세였는데 일반적으로 봄 경향이 가을에도 재현되는 경우
가 많기 때문.
양실 침구(침대시트 등)의 경우 낮은 가격대 보다는 가격이 좀 높더라도 질이 좋은 상품
이 대세를 이룰 전망이다. 국산 브랜드는 40만~60만원대, 캘빈클라인 팔프로렌 등 수입
제품은 60만~100만원대가 주류다.
최근 예단용 한실 침구세트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굳이 구입한다면 전통적인 골드 레
드의 자수를 갖춘 상품보다 핑크 중심의 현대식 스타일이 인기라는 점을 참조하면 좋을
듯하다.
실제로 판매금액별로 보면 전통 스타일은 20% 선에 머무는 반면 파스텔톤 계열의 현대
적 스타일은 80%를 차지하고 있다.
▲예물
예년에는 예물 선택시 보석의 크기 등이 중요했으나 최근에는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들
의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해서 결혼예물도 심플하면서 디자인 감각이 돋보이는 것이 대
세를 이룬다.
주로 다이아가 세팅된 5부 반지·3부 목걸이·1부 귀걸이를 기본 세트로 한 300만원대부
터가 인기.
캐주얼 반지도 호응을 받고 있다. 특히 신랑용 반지의 경우 신부와 알 크기를 같이 해
젊은 감각이 느껴지도록 한 것이 인기를 높여가고 있다.
유색 보석의 경우 화이트골드와 섞은 꽃모양이나 부채꼴 모양 등 여성스럽고 귀여운 것
이 인기를 끌 듯.
▲가전부문
맞벌이 부부가 늘고있는 만큼 집안일을 수월하게 해줄 기능성 가전제품에 많은 눈길이
쏠린다. 또한 신세대 신혼부부들이 대용량을 선호하는 경향도짙다.
냉장고의 경우 이런 부부들을 겨냥해 품목별로 분리 수납이 가능하고 타이머 등 특수기
능을 갖춘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가격대는 주로 560~720ℓ 대용량 제품이 120만~160만원선.
세탁기 역시 일주일에 한번 빨래를 할 경우에도 세탁량을 소화할 수 있는10㎏이 주류고
엉킴방지 및 울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세탁기도 인기다. 혼수 필수품인 TV의 경우 신혼부
부들이 미디어 세대인 만큼 화면의 크기나 사운드를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
현재 캡션기능을 갖춘 29인치 상품이 최고 인기를 누리고 있다.
출처 : 웨딩플래너(우송정보대웨딩이벤트과06학번)
글쓴이 : 웨딩플래너이은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