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실천 사항-죽음의 방식을 스스로 묻고 답하기
죽음은 4가지요소로 만인에게 평등하다
1) 사람의 평등(누구나 죽는다)
2) 시간의 평등(언제든지 죽을 수 있다)
3) 장소의 평등(어디서든지 죽을 수 있다)
4) 예측불가능의 평등(누가 언제 어디서 죽을 지 정해져 있지 않다)
죽음 방식의 유형(9가지)
1)절망과 두려움
2)부정
3)분노
4)슬픔
5)삶의 마무리
6)수용
7)희망
8)마음의 여유와 웃음
9)밝은 죽음
죽음은자에게 던져지는 질문(2가지)
1)나는 어던 사람인가?, 어떤 삶을 살았는가?
2)나는 죽을 때 마음의 흔들림 없이 평화로웠는가?
* 2단계 실천사항-리빙 윌(Living Will)이나 "사전의료지시서"에 서명하기
사전에 가족에게 무의미한 치료 중지를 동의를 구하여 위급시 실천하도록 한다.
* 3단계 실천사항-다른 세상으로 여행 떠날 준비하기
자기 삶에 가장 소중한 것이 무엇이지 심사숙고한다. 죽는다는 것은 모든 소유하던 것을
놓아두고 빈손으로 떠나므로 영혼의 성숙이나 사랑의 실천과 관련된 핵심적인 것을 정리해야 할 것이다.
* 4단계 실천사항-장례방식과 장기 기증여부 결정하기
장례방식-장례식은 밝은 분위기로 진행되고, 참석자에게 (동영상,편지 등) 슬퍼하지 말고 밝게 살 것을 인사말로 남긴다.
장기기증-자신의 육신이 존엄하게 쓰일 수 있도록 이타행ㄹ 실천한다.
* 5단계 실천사항-유서쓰기
해마다 연말에 유서를 작성해둔다.(아무 말도 못하고 가는 경우가 너무 많다)
1) 삶의 회상과 마무리(인가관계, 경제적.법적문제의 처리)
2) 자신의 죽음 이해
3) 자기의 죽음 방식(리빙 윌이나 사전의료지시서에 서명 등)
4) 장례방식 결정, 장기 기증 여부
5) 가족, 친척, 가가운 친지에 대한 작별 인사
* 6단계 실천사항-사랑 나누기
매일 감사하는 마음으로 생활하고 밝은 웃음을 주위에 전파한다. 잘 삶은 "영혼의 성숙"을 의미한다.
* 7단계 실천사항-"웰다잉을 위한 명상"을 실천하기
아침 기상과 취침 직전 등 일정한 시간을 정해 죽음 치유를 위한 명상을 규칙적으로 수행한다.
* 죽음을 앞둔 사람의 3가지 단순화 작업
1) 물질적 단순화
2) 인격의 단순화
3) 영적 단순화
* 달라이 라마<죽음>
"사람들은 평화롭게 죽기를 바랍니다.
우리의 삶이 폭력으로 가득 차 있거나
성냄, 집착, 공포 같은 감정으로 크게 혼란스럽다면,
평화롭게 죽을 수 없음 또한 자명한 일입니다.
죽음을 평온하게 맞이하고자 한다면 올바르게 사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평화로운 죽음을 희망한다면 우리의 삶 속에서 평화를 일구어야 합니다."
* 죽음에 대한 참고서적
최화숙<아름다운 죽음을 위한 안내서>
헬렌 니어링<아름다운 삶, 사랑 그리고 마무리>
능행<섭섭하게 그러나 아주 이별하지 않게>
김영우<영혼의 최면치료>
소걀 린포테<티베트의 지혜>
신홍범<마더 데레사 그사랑의 생애와 영혼의 메시지>
요한 바오로<내안에 그대 안식처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