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예절

나그네0444 2008. 6. 17. 16:29
예절이 만들어진 이유는 서로 편안하게 사는 방법을 연구하다 보니 만들어 진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은 기운이 세고 한 사람은 약하다고 할 때, 이 두사람이 살면서 기운센 사람이 그 기운을 약한 사람을 괴롭히는 데 사용한다면 어찌 되겠습니까? 처음에는 약한 사람이 몹시 괴롭고 고통스럽겠지요. 하지만 그 한게가 지나가면 약한 사람도 참고만 있지 않습니다. 몰래든지 아니면 무기를 가지고서라도 기운 센사람을 제압하려고 하겠지요. 이렇게 되면 나중에는 두 사람다 사는 것이 불편합니다.

이렇게 기운 센 사람과 약한사람, 나이가 많은 사람과 젊은 사람, 남자와 여자, 친구간, 형제간, 가족간, 이웃간의 삶에서 가장 서로에게 편안한 것이 무엇이구나 하고 찾아낸 것들이 예절이라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절은 지킬만한 것이고 또 지켰을 때 서로에게 편안함을 주는 것입니다.

이제 왜 예절을 지켜야 되는지 알겠지요?





전통예절의 형식이 란 관혼상제(冠婚喪祭)의 의식을 말합니다
손의 위치에 대한 예절이라고 하시는건 절도 (절도(節度)[―또][명사] 말이나 행동 따위의 적당한 정도. ) 라고 하는데 좀복잡하고
길어서 생략할께요

관례(冠禮)와 계례는 오늘날의 성인의식이며,
혼례(婚禮)는 혼인식,
상례(喪禮)는 초상을 당하여 장례를 치룰 때까지의 의식,
제례(祭禮)는 죽은 자를 위로하고 추모하는 의식이다.

그러므로 관혼상제 의례는 인간이 태어나서 살다가 죽은 후까지도
자신과 더불어 사는 사람들과 함께 하는 인생의 통과의례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은 서로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이며,

따라서 한 사람의 인생은 혼자가 아니라 자기 주위사람들 모두의 배려와 관심 속에서 살아가는 것이라는 인정어린 문화가 관혼상제 의례를 통하여 잘 나타나고 있다




1...전통예절은 형식과 절차를 중시하는데 반해 현대예절은 형식이 간소화 되고 실용성과 합리성이 점차 강조 되는 추세를 보인다

2...전통예절은 가족과 친척 그리고 이웃간에 친밀한 관계에 예절을 중시
하여 왔는데 반해 현대예절은 글로벌시대를 맞아 다양화 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문화의 다양성의 혼합으로 예절의 위치가 국적 불명의 애매함이 증가하고 있다)

3...전통예절은 신분제도상의 신분 차이에 따른 예절을 중시 했으나 현대예절은
평등한 인간관계로의 변화로 이에 접합한 예절의 형식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상 전통예절과 현대예절의 변화된 면을 알아보았는데 현대를 사는
우리들은 예절의 근본정신을 잘이어 받아 한층 훌륭한 예절로 발전 시켜야
하겠다





우선 예절의 정의를 살펴보면
예절은 예의와 범절의 준말이다.

예의(禮儀)는 남의 인격을 존중하고 경애하는 정신을 말과 행동으로 나타내는
공동체의 규정이나 관계이다. 즉 서로 상대방에게 갖추어야 할 말투나 몸가짐
또는 행동 따위이다.

범절(凡節)은 일상생활의 모든 일의 순서나 절차이다.
즉 말투나 몸가짐, 행동의 정해진 형식이다.
그러므로 예절은 상대방의 인격을 존중하는 마음을
그에 합당한 형식으로 표현하는 행위이다.

예절은 마음가짐만으로는 부족하며 마음이 밖으로 드러나야 참 예절을 갖출 수 있다.
또한 예절이란 구속력이나 강제적 규범에 의해서 지켜지기 보다 스스로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간의 도덕심과 양심을 먼저 존중하는 것이 예절이다.


오늘날 들어와서 산업사회가 발전되고
산업 사회는 기계와 기술을 개발했고, 공업에 의한 대량 생산과 소비를 가능케 했다. 사람들은 물질적 부를 즐기는 방향으로 쏠렸는가 하면, 사회의 가치 평가가 생산과 부를 표준으로 삼기에 이르면서 현대 사회는 물질 만능주의로 기울어지게 되었다. 그 결과 나타난 것이 문화 경시의 현실이며, 그것이 심하게 되어 인간 소외(人間疎外)의 사회를 만들게 되었다. 이렇게 물질과 부가 모든 것을 지배하게 되면, 우리는 문화를 잃게 되며, 삶의 주체인 인격의 균형을 상실하게 된다. 그 뒤를 따르는 불행은 더 말할 필요가 없다.
우선 가장 먼저 우려해야할 점은 인간의 본성이랄수 있는 올바른
도덕심의 결여가 극치로 치닫게 되어 이에 비례하여 인간들의
예절의식에 대한 중요한 문제점을 보이게 되는건 당연하다 하겠다
자신이 올바른 예절의식으로 잘정돈하려 노력하려는데 사회적 상황이

결국 자신이 손해를 보게되는 것같다는 의식이 팽배하여가는 것이
작금의 세태인것같다
우리는 여기서 몆가지 예절의 문제점을 생각해보려 한다

★ 현대사회의 예절의 문제점

1.예절의 근본 정신 약화

2.외형적인 형식 중시

3.편의주의 풍조 만연

4.물질적인 측면 중시

출처 : 광릉 숲 사랑 [구-광릉수목원]
글쓴이 : 광릉숲 지킴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