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방가구의 현재 |
![]() |
핸들리스, 소재의 다양화, 수납장 활용 - 2004년
부엌 가구 트렌드
부엌이 가족 생활의 중심 공간으로 변해가고 있다. 음식의 조리나 식사를 위한 공간이었던 부엌이 거실로, 가족실로, 때로는 응접실 기능까지 더해가면서 폭넓게 활용되는 추세. 자연히 부엌 가구도 기능성은 물론 디자인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갈수록 고급스러워지고 있다.
국내 부엌 가구 트렌드는 보통 밀라노 쇼와 퀼른 쇼의 트렌드를 좇는데 올해 쇼에서는 부엌 가구 디자인에 대한 특별한 작품이 없었으므로, 작년 추세와 비슷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작년에 강세였던 아일랜드 카운터장에 대한 제안들이 좀더 나올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주방 가구 트렌드 중에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손잡이를 없애고 수평 라인을 부각시킴으로써 도시적이고 세련된 느낌을 주는 미니멀 디자인이 다시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손잡이가 없는 핸들리스(handless) 스타일은 특히 고급 취향의 소비자들에게 호평받고 있다. 핸들리스 스타일은 이미 유럽에서는 보편화되어 있는 스타일로, 인테리어 트렌드에서 미니멀과 젠 스타일이 여전히 강세임을 엿보게 해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부엌의 미관에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후드와 레인지도 미니멀리즘의 영향을 받고 있다. 서구의 벽난로 형태에서 출발한 후드는 한때 크고 화려한 형태가 인기였으나 지금은 미니멀한 부엌 가구에 어울리게 아주 단순하고 크기도 작은 것이 유행이다. 소재는 스테인리스 스틸이 주류이나 최근에는 유리와 알루미늄 소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부엌 가구의 색상은 화이트와 밝은 체리빛이 많이 쓰인다. 미니멀한 디자인에는 늘 블랙 앤드 화이트가 강세이면서 부엌을 좀더 넓고 환하게 돋보이게 한다는 심미적 측면이 강조된 것. 부드럽고 아늑한 질감을 주기 위해 하이그로시 광택이 시도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패턴은 밝은 색 계열이 강세인 가운데, 국내에서는 화이트가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어 이러한 화이트 선호 트렌드는 바뀌지 않을 듯하다. 다만 화이트에 적용되는 다양한 패턴(펄, 매트, 하이그로시) 중에서 2004년에는 하이그로시 느낌의 제품들이 더욱 성숙될 것이다.
아일랜드 플랜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각 회사별로 아일랜드 카운터장에 대한 기능적인 면이 보완될 것이다.
또한 수납장의 대형화 추세는 더욱 가속화되어 하이테크 하드웨어인 서랍 시스템이 보다 중요시될 것이고 부엌 가구의 소재나 디자인의 차별화가 점차 어려워지기 때문에 조명 기능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다. 특히 전자레인지를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수납장과 여닫이 서랍 안쪽에 식기건조기를 넣도록 되어 있는 가구, 에스프레소기를 수납장에 같이 짜넣은 제품 등 공간 활용 극대화를 위한 아이디어 상품들이 인기를 모은다. 김정은(한샘인테리어 주방가구파트)
현재 핫 트렌드! 시스템 키친 & 빌트인 시스템
시스템 키친(system kitchen) 능률적인 가사 노동을 위해 설비된 조립식 붙박이형 부엌 가구로 예전처럼 여러 개로 나누어진 작업대를 나란히 붙여놓은 것이 아니라 준비대, 개수대, 조리대, 가열대, 배선대가 일체화되면서 상판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틈새나 돌출부가 없어 청결하며 기능적이다. 치수나 재질, 색채가 다양하여 각 가정의 생활 방식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작업대에 가스오븐레인지, 냉장고, 식기세척기, 세탁기, 전자레인지 및 기타 가정 자동화 기기, 라디오, TV 등을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기능성을 갖추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개별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가전제품을 부엌 가구와 일체화시켰기 때문에 인테리어 효과가 우수하고 제품 사용의 편리성 및 효율성도 높다.
빌트인 시스템(built in system) 빌트인 시스템은 냉장고와 가스오븐레인지, 식기세척기, 세탁기 등을 부엌 가구 안에 내장시켜 깔끔하게 마감한 것을 말한다. 빌트인 시스템을 이용하면 우선 보기에 좋다. 모든 가전제품이 가구와 조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 또 빌트인 기기를 설치하면서 부엌을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때문에 공간을 30% 정도까지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이 전문 업체의 설명이다. 자동화된 주방 가전을 많이 활용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동선이 줄어드는 장점도 있다.
최근에는 쌀통과 행주 도마 살균기, 음식물 탈수기까지 빌트인 시스템 안으로 들어가면서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빌트인 주방 시스템의 특징은 가구 속에 가전이 들어가는 형태다.
부엌이 가족 생활의 중심 공간으로 변해가고 있다. 음식의 조리나 식사를 위한 공간이었던 부엌이 거실로, 가족실로, 때로는 응접실 기능까지 더해가면서 폭넓게 활용되는 추세. 자연히 부엌 가구도 기능성은 물론 디자인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갈수록 고급스러워지고 있다.
국내 부엌 가구 트렌드는 보통 밀라노 쇼와 퀼른 쇼의 트렌드를 좇는데 올해 쇼에서는 부엌 가구 디자인에 대한 특별한 작품이 없었으므로, 작년 추세와 비슷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작년에 강세였던 아일랜드 카운터장에 대한 제안들이 좀더 나올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주방 가구 트렌드 중에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손잡이를 없애고 수평 라인을 부각시킴으로써 도시적이고 세련된 느낌을 주는 미니멀 디자인이 다시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손잡이가 없는 핸들리스(handless) 스타일은 특히 고급 취향의 소비자들에게 호평받고 있다. 핸들리스 스타일은 이미 유럽에서는 보편화되어 있는 스타일로, 인테리어 트렌드에서 미니멀과 젠 스타일이 여전히 강세임을 엿보게 해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부엌의 미관에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후드와 레인지도 미니멀리즘의 영향을 받고 있다. 서구의 벽난로 형태에서 출발한 후드는 한때 크고 화려한 형태가 인기였으나 지금은 미니멀한 부엌 가구에 어울리게 아주 단순하고 크기도 작은 것이 유행이다. 소재는 스테인리스 스틸이 주류이나 최근에는 유리와 알루미늄 소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부엌 가구의 색상은 화이트와 밝은 체리빛이 많이 쓰인다. 미니멀한 디자인에는 늘 블랙 앤드 화이트가 강세이면서 부엌을 좀더 넓고 환하게 돋보이게 한다는 심미적 측면이 강조된 것. 부드럽고 아늑한 질감을 주기 위해 하이그로시 광택이 시도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패턴은 밝은 색 계열이 강세인 가운데, 국내에서는 화이트가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어 이러한 화이트 선호 트렌드는 바뀌지 않을 듯하다. 다만 화이트에 적용되는 다양한 패턴(펄, 매트, 하이그로시) 중에서 2004년에는 하이그로시 느낌의 제품들이 더욱 성숙될 것이다.
아일랜드 플랜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각 회사별로 아일랜드 카운터장에 대한 기능적인 면이 보완될 것이다.
또한 수납장의 대형화 추세는 더욱 가속화되어 하이테크 하드웨어인 서랍 시스템이 보다 중요시될 것이고 부엌 가구의 소재나 디자인의 차별화가 점차 어려워지기 때문에 조명 기능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다. 특히 전자레인지를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수납장과 여닫이 서랍 안쪽에 식기건조기를 넣도록 되어 있는 가구, 에스프레소기를 수납장에 같이 짜넣은 제품 등 공간 활용 극대화를 위한 아이디어 상품들이 인기를 모은다. 김정은(한샘인테리어 주방가구파트)
현재 핫 트렌드! 시스템 키친 & 빌트인 시스템
시스템 키친(system kitchen) 능률적인 가사 노동을 위해 설비된 조립식 붙박이형 부엌 가구로 예전처럼 여러 개로 나누어진 작업대를 나란히 붙여놓은 것이 아니라 준비대, 개수대, 조리대, 가열대, 배선대가 일체화되면서 상판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틈새나 돌출부가 없어 청결하며 기능적이다. 치수나 재질, 색채가 다양하여 각 가정의 생활 방식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작업대에 가스오븐레인지, 냉장고, 식기세척기, 세탁기, 전자레인지 및 기타 가정 자동화 기기, 라디오, TV 등을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기능성을 갖추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개별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가전제품을 부엌 가구와 일체화시켰기 때문에 인테리어 효과가 우수하고 제품 사용의 편리성 및 효율성도 높다.
빌트인 시스템(built in system) 빌트인 시스템은 냉장고와 가스오븐레인지, 식기세척기, 세탁기 등을 부엌 가구 안에 내장시켜 깔끔하게 마감한 것을 말한다. 빌트인 시스템을 이용하면 우선 보기에 좋다. 모든 가전제품이 가구와 조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 또 빌트인 기기를 설치하면서 부엌을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때문에 공간을 30% 정도까지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이 전문 업체의 설명이다. 자동화된 주방 가전을 많이 활용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동선이 줄어드는 장점도 있다.
최근에는 쌀통과 행주 도마 살균기, 음식물 탈수기까지 빌트인 시스템 안으로 들어가면서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빌트인 주방 시스템의 특징은 가구 속에 가전이 들어가는 형태다.
주방가구 제대로 고르는 법 |
![]() |
1 주방의 넓이는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
주방의 넓이는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단적으로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 이는 각 가정의 가족수, 작업 방법, 음식물의 기호, 주방 사용 용도, 문화 등 여러 가지가 주방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구체적 과정에서 주방의 크기 결정 요소를 살펴보면, 첫째,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주방 가구의 배치, 주방 기기의 스톡, 부대 설비 및 요리 행위에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적정 면적이어야 한다. 둘째, 하루 중 평균 몇 명이 주방에서 작업을 하는지 여부에 따라 넓이가 변화하게 된다. 셋째, 주거 전체 면적 중 주방 점유율은 30평 전후 중소 주택의 경우 총 면적의 8~15%가 적당하며, 이 비율에 의거해 주방 넓이를 정하되 냉장고나 식기고의 크기나 수를 고려하여 음식 관리가 능률적이고 실용적이 되게 주거 전체에서 본 주방 공간을 설계해야 한다. 넷째, 식기나 조리 기기, 전기·전자제품의 수와 증가량을 고려해야 하며, 라이프스타일과 소도구까지 고려하면 합리적이면서 실용적인 주방 공간을 만들 수 있다.
2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할 것
가족의 수와 나이, 직업, 취미 등 라이프스타일을 먼저 파악하고 나서 그에 맞는 주방 스타일과 작업대 형태를 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아이가 너무 어려서 주부가 눈을 뗄 수 없다면 오픈형 주방이 적합하고 가족이 모두 어른이라면 독립형 주방이 적합하다.
또 주방 살림이 많으면 수납 위주로 선택하고 주방 일을 할 시간이 많지 않은 맞벌이 부부의 경우에는 기능 위주로 선택해야 할 것이다.
3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현재 나와 있는 주방 가구는 개수대, 조리대, 가열대, 수납장, 가전제품 등 각각의 유니트를 주방의 크기와 형태에 맞춰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다. 주방 가구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주문식은 주방 형태에 꼭 맞는 짜임새 있는 주방을 꾸밀 수 있어 편리하지만 주문 생산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 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는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규격 제품을 사서 주방을 꾸미는 간이식은 주문식에 비해 값이 조금 싸고 제작 기간이 짧지만 원하는 주방을 만들기 어렵다. 어느 쪽이 더 유리한지 경우에 따라 다르므로 잘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주방 가구 전문 업체마다 고객이 원하는 스타일과 주방의 형태에 맞춰 컴퓨터로 설계해주는 무료 설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4 가전제품도 함께 선택한다
주방 가구와 가전 제품을 따로 따로 구입하면 색깔도 어울리지 않고 크기도 맞지 않아 인테리어나 공간 활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냉장고 등 가전제품을 주방 가구에 빌트인시켜 같이 구입하면 보기에도 깔끔하고 편리할 뿐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가전제품을 따로 구입할 경우에는 가전 제품의 크기를 정확히 알아야 버리는 공간 없이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5 하이그로시 제품일 경우 내부 자재를 확인할 것
하이그로시 도장 제품을 구입 할 경우에는 도장 안쪽 내부 자재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 하다. 내부 자재로는 주로 파티클 보드나 MDF를 쓰는데 오랜 시간 건조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건조된 목재가 표면의 도료를 흡수한다. 흡수 현상은 주방 가구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계속 일어나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문짝 표면에 물결처럼 미세한 굴곡이 생긴다.
이러한 현상은 목재를 내부 자재로 사용하는 도장 공법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긴 하지만 조직이 섬세한 MDF를 사용하거나 도료와 내부 자재의 밀착을 돕는 밀착 시트를 멜라민 무늬목으로 하면 그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또한, 도장 제품은 아무리 도료의 양과 농도를 똑같이 한다 해도 제조 시기가 많이 차이나면 색도 약간씩 차이가 난다.
문짝에 흠이 생겨 그 문짝만 바꿀 경우에는 쓰고 있는 주방 가구와 같은 시기에 제조된 제품으로 바꾸어야 색 차이가 없다.
6 좁은 주방일수록 심플하게 모델하우스 주방에 연연하는 것은 아닌지?
우리집은 20평대인데 50평대 이상이어야 가능한 아일랜드식 부엌에 미련을 두고 있는 것은 아닌지? 가장 좋은 것은 평수에 맞는 부엌, 그리고 합리적인 쓰임새이다. 이것저것 들여놓아 빈틈이 없는 주방은 좁은 집을 더욱 답답하게 한다.
좁은 주방일수록 심플하게 꾸며 시원한 분위기를 낼 필요가 있다. 꼭 필요한 것만 놓고, 필요없는 것은 미련없이 생략하는 것이 좋다.
주방의 넓이는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단적으로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 이는 각 가정의 가족수, 작업 방법, 음식물의 기호, 주방 사용 용도, 문화 등 여러 가지가 주방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구체적 과정에서 주방의 크기 결정 요소를 살펴보면, 첫째,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주방 가구의 배치, 주방 기기의 스톡, 부대 설비 및 요리 행위에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적정 면적이어야 한다. 둘째, 하루 중 평균 몇 명이 주방에서 작업을 하는지 여부에 따라 넓이가 변화하게 된다. 셋째, 주거 전체 면적 중 주방 점유율은 30평 전후 중소 주택의 경우 총 면적의 8~15%가 적당하며, 이 비율에 의거해 주방 넓이를 정하되 냉장고나 식기고의 크기나 수를 고려하여 음식 관리가 능률적이고 실용적이 되게 주거 전체에서 본 주방 공간을 설계해야 한다. 넷째, 식기나 조리 기기, 전기·전자제품의 수와 증가량을 고려해야 하며, 라이프스타일과 소도구까지 고려하면 합리적이면서 실용적인 주방 공간을 만들 수 있다.
2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할 것
가족의 수와 나이, 직업, 취미 등 라이프스타일을 먼저 파악하고 나서 그에 맞는 주방 스타일과 작업대 형태를 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아이가 너무 어려서 주부가 눈을 뗄 수 없다면 오픈형 주방이 적합하고 가족이 모두 어른이라면 독립형 주방이 적합하다.
또 주방 살림이 많으면 수납 위주로 선택하고 주방 일을 할 시간이 많지 않은 맞벌이 부부의 경우에는 기능 위주로 선택해야 할 것이다.
3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현재 나와 있는 주방 가구는 개수대, 조리대, 가열대, 수납장, 가전제품 등 각각의 유니트를 주방의 크기와 형태에 맞춰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다. 주방 가구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주문식은 주방 형태에 꼭 맞는 짜임새 있는 주방을 꾸밀 수 있어 편리하지만 주문 생산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 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는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규격 제품을 사서 주방을 꾸미는 간이식은 주문식에 비해 값이 조금 싸고 제작 기간이 짧지만 원하는 주방을 만들기 어렵다. 어느 쪽이 더 유리한지 경우에 따라 다르므로 잘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주방 가구 전문 업체마다 고객이 원하는 스타일과 주방의 형태에 맞춰 컴퓨터로 설계해주는 무료 설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4 가전제품도 함께 선택한다
주방 가구와 가전 제품을 따로 따로 구입하면 색깔도 어울리지 않고 크기도 맞지 않아 인테리어나 공간 활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냉장고 등 가전제품을 주방 가구에 빌트인시켜 같이 구입하면 보기에도 깔끔하고 편리할 뿐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가전제품을 따로 구입할 경우에는 가전 제품의 크기를 정확히 알아야 버리는 공간 없이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5 하이그로시 제품일 경우 내부 자재를 확인할 것
하이그로시 도장 제품을 구입 할 경우에는 도장 안쪽 내부 자재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 하다. 내부 자재로는 주로 파티클 보드나 MDF를 쓰는데 오랜 시간 건조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건조된 목재가 표면의 도료를 흡수한다. 흡수 현상은 주방 가구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계속 일어나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문짝 표면에 물결처럼 미세한 굴곡이 생긴다.
이러한 현상은 목재를 내부 자재로 사용하는 도장 공법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긴 하지만 조직이 섬세한 MDF를 사용하거나 도료와 내부 자재의 밀착을 돕는 밀착 시트를 멜라민 무늬목으로 하면 그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또한, 도장 제품은 아무리 도료의 양과 농도를 똑같이 한다 해도 제조 시기가 많이 차이나면 색도 약간씩 차이가 난다.
문짝에 흠이 생겨 그 문짝만 바꿀 경우에는 쓰고 있는 주방 가구와 같은 시기에 제조된 제품으로 바꾸어야 색 차이가 없다.
6 좁은 주방일수록 심플하게 모델하우스 주방에 연연하는 것은 아닌지?
우리집은 20평대인데 50평대 이상이어야 가능한 아일랜드식 부엌에 미련을 두고 있는 것은 아닌지? 가장 좋은 것은 평수에 맞는 부엌, 그리고 합리적인 쓰임새이다. 이것저것 들여놓아 빈틈이 없는 주방은 좁은 집을 더욱 답답하게 한다.
좁은 주방일수록 심플하게 꾸며 시원한 분위기를 낼 필요가 있다. 꼭 필요한 것만 놓고, 필요없는 것은 미련없이 생략하는 것이 좋다.
출처 : 웨딩플래너(우송정보대웨딩이벤트과06학번)
글쓴이 : 웨딩플래너이은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