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복 고르기 | |
⊙ 신부용 | |
한복 빨강치마에 연두저고리인 관례복과 외출복,두루마기 등 3벌이 기본이다. 최근에는 관례복을 외출복으로도 대신 입을수 있게 실용적인 색상으로 맞추는 경향이 늘고 있다. | |
⊙ 신랑용 | |
한복 바지,저고리,조끼,마고자가 한세트이다. 예의를 지키는 의미에서 긴 두루마기 또한 갖춰 입는게 좋다. | |
+ 한복 갖춰 입는법 | |
⊙ 여자 한복 | |
짧은 속바지->긴속바지->속치마->치마순으로 입는다. 속적삼을 입은후 버선을 신고 저고리를 입는다. 그다음 노리개를 하고 두루마기를 입는다. | |
⊙ 남자 한복 | |
내의나 속고의->바지->저고리(동정니가 잘 맞도록 입는다)->버선이나 양말을
체형별 한복 고디 제안 |
+ 아담하고 날씬한 체형 | |
⊙ Color | |
치마 저고리 같은 계열색으로 배색하고 치마색이나 동색계열의 옅은 색상의 고름이나 깃에 포인트를 준다. 짙은 치마에 연색 저고리를 입어 밝은 느낌을 준다. | |
⊙ 문양 | |
크지 않고 잔잔한 무늬를 이용한다. | |
⊙ 디자인 | |
치마는 주름을 촘촘히하여 폭은 넓고 길이는 길게 한다. 저고리 길이는 짧게 깃의 넓이는 넓고 깃 길이는 짧게, 섶은 넓게 품은 넉넉하고 짧게 한다 반두루마기보다 긴두루마기가 어울린다. | |
+ 아담하고 통통한 체형 | |
⊙ Color | |
치마색상은 어두운 계열이 좋고 저고리 색상은 치마와 비슷하거나 같은 계열의 옅은 파스텔 톤의 색상이 산뜻해 보인다. | |
⊙ 문양 | |
잔잔한 무늬와 넝쿨무늬로 아래와 위의 상하크기를 달리한다. | |
⊙ 디자인 | |
품의 길이를 길게 하고 소매통을 직배래에 가깝게 좁게 한다. 저고리 길이는 약간 짧게 치마는 많이 후려서 부하지 않게한다. 어깨가 좁아보이도록 진동선을 긴 각으로 파서 올린다. 저고리 깃은 조금 길게 뒷길이도 내려서 단다. 고대는 넓지 않게 한다. | |
+ 목이 가늘고 길 경우 | |
⊙ Color | |
저고리는 밝은 색으로 따뜻한 느낌이 들도록 한다. | |
⊙ 디자인 | |
깃 너비는 넓게 깃 길이는 짧게하고, 동정이 너무 두꺼우면 더 길어 보이므로 적당한 동정을 단다. | |
+ 목이 굵고 짧으며 키가 작은 경우 | |
⊙ Color | |
치마는 옅은 색으로 입고 저고리는 되도록이면 짙은 색 계열로 하되 고름만 다른색으로 포인트를 준다. | |
⊙ 디자인 | |
깃 넓이는 좁게 깃 길이는 길게 고대는 넓게 한다. 저고리 길이는 조금 길게 하고 치마는 후려서 부하지 않게 한다. 깃·섶·부리·등솔에 선을 치고 다른색 고름 한 짝을 더 다는것도 좋다. | |
+ 어깨가 넓거나 올라간 경우 | |
⊙ Color | |
저고리는 짙은 색으로 한다. | |
⊙ 문양 | |
어깨에 수나 그림으로 문양을 주어 넓거나 올라간 어깨를 보완해준다. | |
⊙ 디자인 | |
진동선을 고대선 쪽으로 좁혀주고 소매를 곡선으로 처리한다. 곁을 올려주고 도련을 처지지 않게 평도련에 가깝게 한다. 회장저고리나 조끼 저고리를 입거나 어깨선 없이 다자인 해 입는것도 좋다. | |
+ 가슴이 큰 경우 | |
⊙ Color | |
저고리 색상을 짙은 색으로 선택하고 깃·고름에 포인트를준다. | |
⊙ 문양 | |
어깨부터 소매 위쪽에 줄문양을 넣어 큰가슴의 시선을 분산시킨다. | |
⊙ 디자인 | |
앞길이를 길게하고 섶을 내달아 앞품을 크게하여 도련이 들리지 않게한다. 치마말기로 가슴을 조이고 치마허리에는 앞처짐을
준다. |
출처 : 웨딩플래너(우송정보대웨딩이벤트과06학번)
글쓴이 : 웨딩플래너이은예 원글보기
메모 :